동적 client (브라우저)=> Web Server => W.A.S(동적컨텐츠 1.로우데이터 확보(dao) => D.B
2.인포메이션화(service)
3.언어화시켜 컨텐츠로 만듬(view)/
controller: 클라이언트의 요구사항분석)
<메모>
IP(물리적주소) + 포트넘버(논리적주소) => tier구분
DN(DNS) 란?
* 웹사이트에 접속 할 때 우리는 외우기 어려운 IP 주소 대신 도메인 이름을 사용한다.
* 도메인 이름을 사용했을 때 입력한 도메인을 실제 네트워크상에서 사용하는 IP 주소로 바꾸고 해당 IP 주소로
접속하는 과정이 필요하다. 이러한 과정, 전체 시스템을 DNS(도메인 네임 시스템)라고 하고 이러한 시스템은
전세계적으로 약속된 규칙을 공유한다.
* 상위 기관에서 인증된 기관에게 도메인을 생성하거나 IP 주소로 변경할 수 있는 ‘권한’을 부여한다.
* DNS는 이처럼 상위 기관과 하위 기관과 같은 ‘계층 구조’를 가지는 분산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가진다.
java se => 톰캣은 se에 없는 servlet이 있음
java ee => 통합에디션
java me => 모바일
📌톰캣
톰캣 설치버전 ex) 3.1 3=메이저 1=마이너
톰캣 폴더
webapps => 폴더 = context(app base , doc base)
톰캣 디렉토리 구조
환경변수
톰캣이 필요한 이유 ?
1 개발환경 상에서 없는 api를 빌려쓰기 위해
2 클라이언트가 언제 어디서 요청을 보낼지 몰라서 24시간 대기할 수 있는 80번 포트를 대기할 수 있는 상태로 한다
(특정포트 감시)
3 백그라운드에서 동작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운영하다가 관련 요청이 들어오면 서비스를 제공한다(=컨테이너)
'웹기반 애플리케이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JSP(Java Server Page)란? (0) | 2023.03.02 |
---|---|
자원의 종류와 식별 방법, URI(URL,URC,URN) (0) | 2023.02.27 |
서블릿(Servlet)이란? (0) | 2023.02.27 |
SOLID, MODEL1과 MODEL2의 차이 (0) | 2023.02.24 |
Client/Server 와 서블릿(Servlet) (0) | 2023.02.21 |